
오늘부터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속거리두기로
예방 지침이 완화됬습니다.
생활 속 거리두는 지침은 어떻게 이뤄졌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보시고 안전한 생활 되시기 바랍니다
최근 정부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조치『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5월 5일 종료되면서
코로나 19 재확산 방지를 위해 『생활 속 거리두기』로 생활 방역 단계로 전환하였습니다.
이에 지침을 안내드립니다.
제 1 수칙 : 아프면 3~4일 집에 머물기
① 열이 나거나 기침, 가래, 근육통, 코막힘 등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집에 머물며 3~4간 쉽니다.
② 증상이 있으면 주변 사람과 만나는 것을 최대한 삼가고, 집 안에 사람이 있으면 마스크를 쓰고 생활 합니다.특히 고령자, 기저질환자와의 대화, 식사 등 접촉을 자제합니다.
③ 휴식 후 증상이 없어지면 일상에 복귀하고 휴식 중에 38도 이상 고열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해지면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문의합니다.
④ 병원 또는 약국에 가거나 생필품을 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외출을 해야 할 때에는 꼭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⑤ 기업, 사업주 등은 증상이 있는 사람이 출근하지 않게끔, 또는 집으로 돌아가 쉴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제 2 수칙 : 사람과 사람사이 두팔간격 거리두기
① 환기가 안 되는 밀폐된 공간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은 되도록 가지 않습니다.
② 일상생활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2m의 거리, 아무리 좁아도 1m 이상의 거리를 둡니다.
③ 다른 사람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리를 배치합니다.
④ 많은 사람들이 모여야 할 경우 2m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모이는 시간을 서로 다르게 합니다.
⑤ 만나는 사람과 악수 혹은 포옹을 하지 않습니다.
제 3 수칙 : 30초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
① 식사 전, 후 화장실 이용 후, 코를 풀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한 후에는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이용해 손을 깨끗이 합니다.
②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습니다.
③ 개인,공용장소에는 쉽게 손을 씻을 수 있는 세수대와 비누를 마련하거나 곳곳에 손 소독제를 비치합니다.
④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에는 휴지. 손수건 혹은 옷소매 안쪽으로 입을 가립니다.
⑤ 발열, 기침, 가래 , 근육통, 코막힘 등의 증상이 있거나 몸이 안 좋다고 생각되면 다른이들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제 4 수칙 : 매일 2번 이상 환기, 주기적 소독
① 자연환기가 가능한 경우 창문을 상시 열어두고, 상시 열지 못하는 경우는 주기적으로(매일 2회이상) 환기 합니다.환기를 할 때는 가능하면 문과 창문을 동시에 열어 놓습니다.미세먼지가 있어도 실내 환기는 필요합니다.
② 가정, 사무실 등 일상적 공간은 항상 깨끗하게 청소하고,손이자주 닿는곳(전화기.리모콘.손잡이.문고리.탁자.팔걸이.스위치.키보드.마우스.복사기등)은 주1회 이상 소독합니다.
③ 공공장소 등 다수가 오가는 공간은 손이 자주 닿는 곳( 승강기 버튼.출입문.손잡이.난간.문고리.팔걸이.스위치 등)과 공용 물건(카트 등)을 매일 소독 합니다.
④ 소독을 할 때는 소독제(소독제 티슈,알코올(70%에탄올),차아염소나트륨(일명 가정용 락스 희석액 등)에 따라 제조사의 권고사항을 준수(용량과 용법 등)하여 안전하게 사용합니다.
제 5 수칙 : 거리는 멀어져도 마음은 가까이
① 모이지 않더라도 가족, 가까운 사람들과 자주 연락하는 등 마음으로 함께 할 기회를 만듭니다.
② 공동체를 위한 나눔과 연대를 생각하고, 코로나19 환자, 격리자 등에 대한 차별과 낙인에 반대합니다.
③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을 배려하는 마음을 나누고, 실천합니다.
④ 의심스러운 정보를 접했을 때 신뢰할 수 있는지 출처를 확인하고, 부정확한 소문은 공유하지 않으며, 과도한 미디어 몰입을 삼갑니다.
'산업안전 업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성평가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0.05.26 |
---|---|
MSDS 교육 : 물질안전보건교육 (MSDS,GHS) (2) | 2020.05.20 |
밀폐공간에 대해 알아봅시다. (정의,밀폐공간프로그램,밀폐된장소 특별안전보건교육) (0) | 2020.05.19 |
특별안전보건교육 교육시간 도대체 얼마나 해야할까?? (2) | 2020.05.01 |
SAFETY 카테고리는... (0) | 2020.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