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3월 10일 안전보건공단에 공문이 하나 올라오고 많은 기사들도 더불어 올라옵니다
요근래 끼임사고가 많이 일어났나봅니다 이렇게 되면 국가 안전기관들이 나서겠죠??
바로 수리 정비시 끼임사고 예방입니다 공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산재 사망사고는 ‘끼임’사고로, 주로 수리나 정비, 청소 등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년 전체 업무상 사고사망자: 882명 / 제조업 끼임 사고사망자: 60명 (잠정통계)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최근 4년간(2016~2019년)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와 관련된 중대재해조사보고서 중 272건을 분석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사고의 대부분은 수리 등 비정형작업 중이거나, 제대로 방호조치를 하지 않은 채 작업하여 발생했다.
○ 수리, 정비, 청소 등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지는 비정형 작업 중 사고가 발생한 비율은 약 54%로, 실제 비정형작업이 이뤄지는 시간이 짧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정형작업이 훨씬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인물별로는 벨트컨베이어, 천장크레인, 지게차 순으로 사망재해가 많이 발생했으며, 방호설비 설치대상 132건 중 미설치로 인한 사망건수가 115건(87.1%)인 반면, 방호설비를 설치하였는데도 사고가 발생한 건수는 4건(3%)에 불과했다.
끼임사고에 대해서 검색하니 많은 기사들이 나옵니다 산업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일어나는 끼임사고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1. 버스에서 내리다 롱패딩이 문에 끼임 사고
2. 영유아 발 또는 손 끼임사고
3. 자동차 고스트 도어 손가락 끼임 및 절단사고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끼임사고를 예방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방호장치 설치 입니다 기본으로 방호장치가 설치되어 나온 제품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제품도 여러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주는 방호장치를 무조건 설치해야하는 것 입니다
하지만 그냥 설치하는 것이 아닌 제.대.로. 설치해야 할 것입니다 방호장치를 설치하여도 손가락 및 작업복이 충분히 들어가서 끼일수 있는 환경이 손쉽게 찾아볼수 있는것이 현실 입니다 사업장 안전관리시 이런것도 유의하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산업안전 업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재 신청 후 교통비도 꼭 챙기세요 < 첨부파일 > (0) | 2021.07.14 |
---|---|
위험성평가 잘모르시면 클릭하세요! 해설지침서 수록 (0) | 2021.04.13 |
출퇴근 중 재해 사고를 당했다면 출퇴근산재 신청서를 작성하세요 (0) | 2021.03.03 |
국소배기장치 설치에 대한 정보 (0) | 2021.02.23 |
산업안전기사 합격!! (0) | 2020.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