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업무이야기

관리감독자교육 코로나로 인해 놓치지 마세요!!

by glaso88 2020. 6.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리감독자교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안전쪽은 무엇이든지 법을 먼저 찾아봐야합니다

사실 법이 애매한 모호하게 만든것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게 법이니깐요~^^

 

1. 관리감독자란??? 요약 - 사업장의 생산관련업무와 소속직원을 지휘 감독 하는 사람

산안법
제16조(관리감독자)
 ① 사업주는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이하 "관리감독자"라 한다)에게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② 관리감독자가 있는 경우에는 「건설기술 진흥법」 제64조제1항제2호에 따른 안전관리책임자 및 같은 항 제3호에 따른 안전관리담당자를 각각 둔 것으로 본다.

 

2. 관리감도자의 업무는??? 요약 - 기계설비 점검 및 이상유무 / 근로자 보호구 점검 및 착용 교육 / 산재 보고 및 응급조치 / 사업장 정리정돈 / 안전보건 관련 관리자 업무 지원 / 위험성평가 참여

 제15조(관리감독자의 업무 등)   제16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말한다.

1. 사업장 내  제16조제1항에 따른 관리감독자(이하 "관리감독자"라 한다)가 지휘ㆍ감독하는 작업(이하 이 조에서 "해당작업"이라 한다)과 관련된 기계ㆍ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ㆍ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2.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ㆍ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ㆍ사용에 관한 교육ㆍ지도

3.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4.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ㆍ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ㆍ감독

5. 사업장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의 지도ㆍ조언에 대한 협조

가.  제17조제1항에 따른 안전관리자(이하 "안전관리자"라 한다) 또는 같은 조 제4항에 따라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같은 항에 따른 안전관리전문기관(이하 "안전관리전문기관"이라 한다)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안전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나.  제18조제1항에 따른 보건관리자(이하 "보건관리자"라 한다) 또는 같은 조 제4항에 따라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같은 항에 따른 보건관리전문기관(이하 "보건관리전문기관"이라 한다)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보건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다.  제19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이하 "안전보건관리담당자"라 한다) 또는 같은 조 제4항에 따라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라.  제22조제1항에 따른 산업보건의(이하 "산업보건의"라 한다)

6.  제36조에 따라 실시되는 위험성평가에 관한 다음 각 목의 업무

가. 유해ㆍ위험요인의 파악에 대한 참여

나. 개선조치의 시행에 대한 참여

7. 그 밖에 해당작업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 관리감독자에 대한 지원에 관하여는 제14조제2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관리감독자"로, "법 제15조제1항"은 "제1항"으로 본다.

 

3. 관리감독자 교육 시간 및 내용 - 연간 16시간 / 아래 참고

 

  2. 관리감독자 교육 내용

○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재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사항

○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에 관한 사항

 - 현장근로자와의 의사소통능력 향상, 강의능력 향상, 기타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 등에 관한 사항

 (※ 안전보건교육 능력 배양 내용은 전체 관리감독자 교육시간의 1/3이하에서 할 수 있다.)

 

*** 팁! 안전교육 내용은 법정 안전교육 내용을 그대로 적어주셔야 합니다. ***

 

4. 교육방법

- 교육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OJT 와 OFFJT / 사내교육과 사외교육

- 저의 사업체는 OFFJT 로 진행하며 외부집체교육 또는 우편교육을 실시합니다.

- 인터넷으로 진행하는 교육이 있지만 16시간 중 8시간만 이전되어 나머지 8시간 외부집체교육을 받아야합니다.

 


 

오늘은 관리감독자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상반기 집체교육이 취소가 많이 되고 있어 하반기에 인원이 몰릴 예정입니다.

집체교육 예정인 업체는 담당자께서 빠르게 예약하시거나

쉽게 교육할수 있는 우편교육으로 진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안전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

댓글